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민우회
- 임신중지
- 강간죄 개정
-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 1029참사
- 양성평등
- 민우총회
- 수요시위
- 성폭력
- 채용성차별
- 차별금지
- 여성가족부
- 2023 여성노동자대회
- 38여성대회
- 노조법 2·3조
- 세월호
- 3·8 세계여성의날
- 고용평등상담실
- 고용평등상담실폐지중단
- 추모촛불
- 38여성의날
- 여성의날
- 8888
- 여성가족부 폐지 저지
- standwithmyanmark
- 1029
- Today
- Total
목록미래유산 (160)
少欲知足

청량리 홍릉주택은 1950년대 중반 한국전쟁 후 생긴 심각한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시 정부와 서울시가 조성한 공영주택단지다.청량리 홍릉주택은 명성황후의 무덤이 있었던 홍릉 정문의 남쪽에 위치해 있다. 1950년대 만들어진 대표적인 연립형 주거단지로 현재까지 초창기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주로 ‘청량리 부흥주택’으로 불리지만 지리적 위치나 인식적으로 홍릉에 가깝고, 인근의 상권?건물명 등에서도 ‘홍릉’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어 ‘청량리 홍릉주택’이라고 한다.청량리는 일제 강점기부터 인구가 몰리던 지역이었다. 경원선(1914년), 중앙선(1934년), 경춘선(1941년)이 개통되면서 경기도와 강원도의 농산물을 거래하는 재래시장이 청량리역 근처에 많이 생겨났다. 그 결과 이 지역은 대표적인 인구밀집지역이..

‘제기동 상업용 한옥밀집지역’은 동대문구 제기동 일대의 재래시장 내에 위치한 상업화된 도시형 한옥밀집지역이다.제기동(祭基洞)은 조선시대에도 마을을 이루어 살았던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다. 동대문구의 북서쪽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서쪽으로 안암동(성북구), 북쪽으로 종암동(성북구), 동쪽으로 청량리동, 남쪽으로 용신동과 접해 있다. 제기동 중심에는 정릉천이 지난다. 제기동 동명은 조선시대의 풍농을 기원하기 위해 이 마을에 친경대(親耕臺), 즉 선농단(先農壇)을 만들어 왕이 친히 제사를 지냈던 자리라는 데서 유래되었다.‘제기동 상업용 한옥밀집지역’은 1940년 3월 14일 토지구획정리사업을 실시하면서 형성된 지역의 일부로 격자형 가로와 세로로 정형화된 필지로 구획된 택지가 형성된 후 도시형 ..

「홍릉숲」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에 위치한 국립산림과학원에 부속된 수목원으로, 1922년 임업시험장이 설립되면서 만들어진 우리나라 최초의 수목원이다.1895년 명성황후가 시해되고 1897년 대한제국 선포 이후 고종은 동대문구 청량리에 홍릉(洪陵)이라는 능호로 능을 조성하였다. 1919년 고종 사후 현재의 남양주 금곡에 홍릉을 옮기면서 터만 남아 ‘홍릉숲’으로 불리다가 1922년 임업시험장이 홍릉일대에 세워지면서 수목원이 형성되었다.당시 임업시험장은 홍릉일대 30만평 대지 위에 설립되었는데 일제가 1920년 백두산부터 한라산까지 전국 각지에서 수집한 종자와 묘목을 등을 심고 분류해, 1948년까지 수집 및 보존된 표본이 4,000여 종, 30여만 점에 달했다. 1950년 한국전쟁으로 표본 대부분이 훼..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117-3에 위치한 서울바이오허브(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는 1981년에 준공된 지하 1층 지상 4층 철근콘크리트조 건축물로 연면적은 3,851.65㎡이다. ‘ㄹ’자형의 평면을 갖는 이 건물은 중앙 안뜰을 중심으로 공간을 배치해 자연채광이 용이하도록 처리하였다. 남쪽 측면에 지하층과 상부층을 관통하는 온실형 썬큰가든을 설치하고, 4층 중앙에는 옥상정원을 조성하여 건물 어디에서나 외부 공간으로 통하도록 설계하였다. 건물 모든 곳에서 녹색 공간이 인지될 수 있도록 한 것도 이 건물의 특징이다.서울바이오허브(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본관동은 인간적이며 한국적인 재료의 모색에 대한 해답으로 건축가 김수근(金壽根)이 붉은 벽돌을 사용해 구상한 작품으로 건립 당시의 모습이 비교적 양호하게 보..

서울시에서 추진한 강남지구 도시개발촉진책의 일환으로 건설된 대한민국 최초의 2층 교량이다. 용산구 서빙고동과 서초구 반포동을 잇는 2층 교량 중 1층은 홍수가 났을 때 물에 잠기도록 설계된 잠수교이고, 2층은 반포대교이다.길이 1,490m, 너비 25m, 구조는 Steel Box Girder로 1980년 1월에 착공하여 1982년 6월 25일에 완공되었고 2012년 보수공사를 실시했다. 반포대교는 준공 당시 사용하던 승개구간을 지금은 사용하고 있지 않다. 강남과 강북을 잇는 주요 통로 역할을 하며, 서울-부산 간 고속도로 교통을 도심부에 직접 연결시켜 줌으로써 수도권 전체 교통의 효율성을 높여주는 교량이다.서울시에서는 한강을 이용하여 세빛둥둥섬등의 다양한 사업을 실시했다. 반포대교와 잠수교, 달빛무지개 ..

‘샘터화랑’은 1978년 9월 엄중구가 설립한 화랑(畵廊)이다. 1978년 9월 당시 서울 동숭동 서울대 문리대 자리에 개설된 샘터화랑은 1979년 5월 남관(南寬), 유영국(劉永國), 이준(李俊), 문학진(文學晉), 최종태(崔鍾泰) 5인전의 개관 기념전으로 전시를 시작하였다.1980년대 서울의 강남이 개발된 이후, 강남구 압구정동에 새로운 화랑가가 자리잡을 무렵,동숭동 문예진흥원을 중심으로 한 샘터화랑은 춘추화랑, 세종화랑 등과 함께 기존의 문화공간을 대표하는 화랑으로 자리잡았다. 이후 1990년 강남 청담동에 분원을 개설하고, 1997년에는 지상 4층, 지하 1층 규모의 새 건물을 완공하여 전시공간을 확장하였다.1980년대 초부터 전속작가를 고용하고 발굴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작품 제작을 지원하며 ‘한국..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1970년대부터 서울과 지방을 잇는 버스 여객 및 화물을 수송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국내 최대, 서울의 대표적인 버스터미널이다.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는 종합터미널이자 ‘민족 대이동’이라 표현되는 귀성·귀경길의 중심지로 서울시민들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장소이다.1975년에 서울강남고속버스터미날주식회사를 설립한 후 1976년부터 2011년까지 철근콘크리트조의 최저 지상 1층, 최고 지상 10층의 터미널이 준공되었다. 1976년에 강북을 경유하는 고속버스 103대를 처음으로 운행했으며 1977년에는 강남터미널을 기종점으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1979년에 ‘서울고속버스터미날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했고 1980년에는 하차장, 1981년에는 본관이 준공되었다.1992년에 우등 고속버스가 운..

잠수교(潛水橋)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과 서초구 반포동을 연결하는 2층 교량인 반포대교의 아래층 교량으로 1975년 9월에 착공, 1976년 7월에 준공한 한강의 9번째 다리이다. 잠수교는 다른 교량이 수위로부터 16~20m 높이에 건설된 것과 달리 2.7m 위치에 놓여 장마시에는 물에 잠기도록 설계되었다.준공 당시에는 바지선의 통행을 위한 수평식 승개장치(昇開裝置)를 운용하였으나, 1986년 한강종합개발이 수립됨에 따라 유람선이 다닐 수 있도록 교량의 중앙부를 아치형으로 올려 개조하였다. 잠수교는 경부고속도로의 교통을 서울 도심부에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아울러 홍수시 한강의 수위를 알려주는 역할도 맡고 있다.잠수교는 길이 1,225m, 너비 18m의 교량으로 상부에는 강상판형과 RC슬래브형이..

경성사범학교 부속소학교는 1923년 9월에 개교한 초등교육기관으로 경성사범학교에 딸려 있던 3개의 부속학교 가운데 하나이다. 1922년 경성사범학교가 을지로5가로 이전해 오면서 설립된 이 학교는 일본인 학동들을 위한 학교로 서울특별시 중구 방산동의 미육군 극동공병단(FED) 부지 내에 위치하고 있다.경성사범학교는 조선인 남학생들이 다니던 부속보통학교와 일본인 학생들을 위한 부속소학교, 그리고 조선인 여학생들의 부속여자보통학교를 두었다. 경성사범학교 부속소학교는 두 보통학교들과는 차별화된 학제와 교과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1941년 ‘국민학교령’이 공포되면서 부속제1국민학교로 개칭하였다. 광복이 되고 6·25전쟁을 거치며 학교 부지가 미군에 제공된 후 지금은 미육군 극동공병단이 행정건물로 사용하였다.202..

숙명여자고등학교의 전신은 사립 명신여학교(明新女學校)이다. 명신여학교는 1906년 5월 22일 고종의 계비 순헌황귀비(純獻皇貴妃)으로부터 대지, 건물, 경비를 보조받아 한성 박동(지금의 서울 종로구 수송동)에 위치한 용동궁(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수송동 79번지)에 설립되었다. 초대 교장에 이정숙 여사가 취임하였다. 1909년 5월 「고등여학교령」에 의거하여 숙명고등여학교로 개칭하고, 1910년 제1회 졸업생 4명을 배출하였다.1951년 8월 「교육법」 개정에 따라 숙명여자고등학교와 숙명여자중학교로 개편하고 수업연한을 각 3개년으로 변경하였다. 1974년 고등학교 평준화 입시 개혁에 따라 1학년 12학급을 배정받았다. 1981년 3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동 91번지 현재의 위치로 교사를 신축하여 이전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