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임신중지
- 고용평등상담실
- 3·8 세계여성의날
- 고용평등상담실폐지중단
- 추모촛불
- 1029
- standwithmyanmark
- 차별금지
- 2023 여성노동자대회
- 세월호
- 여성가족부
- 여성의날
- 민우회
- 강간죄 개정
- 여성가족부 폐지 저지
- 양성평등
- 수요시위
- 노조법 2·3조
- 38여성의날
-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 민우총회
- 성폭력
- 38여성대회
- 채용성차별
- 8888
- 1029참사
- Today
- Total
목록유래비석 (35)
少欲知足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QeoRR/btsJSt38ddM/6IHfnp1zsRL9pW2yKNU6Tk/img.jpg)
서울 강북구 국립 4·19민주묘지 앞 공원에 ‘아침이슬’ 노래비가 세워졌다. ‘아침이슬’은 민주화운동 시위현장에서 다 같이 부르는 대표적인 민중가요로, 올해(2021년) 탄생 50주년을 맞았다.국립 4·19민주묘지 앞에 ‘아침이슬’ 노래비 건립 [기념비] '아침이슬' 노래비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기념비] '아침이슬' 노래비서울 강북구 국립 4·19민주묘지 앞 공원에 ‘아침이슬’ 노래비가 세워졌다. ‘아침이슬’은 민주화운동 시...blog.naver.co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wINS/btsJJUo2zwq/FUFN4g9UaLQUNH0vr1bgWk/img.jpg)
대법원 1991. 3. 28.자 91모24 결정 [변호인접견불허취소결정에대한재항고] [집39(1)형,739;공1991.5.15,(896),1324]판시사항가. 국가안전기획부장이 한 피의자에 대한 변호인접견불허처분을 취소한다는 원심결정의 취지나. 준항고에 대한 결정에 형사소송법 제417조 소정의 사법경찰관이 아닌 국가안전기획부장을 상대방으로 표시한 원심의 잘못이 형사소송법 제415조의 재항고이유가 되는지 여부(소극)다. 국가안전기획부가 구속 수사중인 피의자의 변호인이 국가안전기획부에 대하여 접견신청을 한다는 취지가 명시된 접견신청서를 구속영장상의 인치장소가 있는 중부경찰서 산하 주자파출소에 제출한 것을 적법한 접견신청이 있었다고 본 사례라. 변호인의 구속 피의자에 대한 접견이 접견신청일이 경과하도록 이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BwXq/btsI6uJwl1G/DsdWSBES931zwdUBtiJUlK/img.jpg)
대릉원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는 황남동 쪽샘 은 '쪽박으로 떠서 마신 샘'에서 비롯된 지명이다. 쪽샘은 황오리 반고정샘, 백율사의 우물과 함께 경주 3대 우물이다. 쪽샘마을에는 200여개의 우물이 잘 보존되어 있어 우물이 많기로도 유명한 마을이다. [유래비] 황남동 쪽샘 유래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유래비] 황남동 쪽샘 유래대릉원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는 황남동 쪽샘 은 '쪽박으로 떠서 마신 샘'에서 비롯된 지명이다....blog.naver.com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dqHd/btsISfUV1E5/keve5Sj315jD3NF37W3mL1/img.jpg)
1981년 9월 30일에 1988 서울올림픽 개최가 확정됨에 따라 강동구 이동 전체가 올림픽공원 부지에 포함되었다. 올림픽공원은 올림픽 경기에 사용할 경기장 건설을 골자로 지어지게 되었는데, 이에 따라 이동 주민들은 모두 이주하게 되었으며, 인구가 0명이 됨에 따라 1981년 9월 1일 부로 방이동에 통폐합되었다. 현재 올림픽공원 경올림픽공원 몽촌토성 남쪽 자작나무숲이 있는 느티나무 아래에 몽촌유허비가 있다. 1980년대 초까지 몽촌토성 부근에는 몽촌이라는 마을에 200여가구가 살고 있었다 한다. 1981년 서울올림픽 유치가 확정되고 몽촌마을 자리에 경기장 시설이 들어서야 했고 마을을 철거하게 되었다고 한다.몽촌 유허비몽촌 헌성비우리의 조상들은 선사시대부터 올림픽공원을 중심으로 몽촌에서 터 잡아 살면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FQa81/btsIQvP075p/PKZqQTIvNkQdd1DbwlBMa1/img.jpg)
아차산은 『삼국사기』에는 ‘아차(阿且)’와 ‘아단(阿旦)’ 등으로 기록되어 있고, 『고려사』와 『세종실록지리지』에는 한자 표기가 변형되어 ‘아차(峨嵯)’로 기록되어 있다. 예전에는 남쪽을 향해 불뚝 솟아오른 산이라 하여 남행산(南行山)이라고도 하였다. 산기슭 마을 사람들은 아끼산·아키산·에께산·엑끼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유사한 명칭은 『경기지』 양주 조에 지금의 영화사(永華寺)인 화양사(華陽寺)가 악계산(嶽溪山)에 있다고 기록된 내용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악계산은 아차산의 서쪽 봉우리를 부르던 명칭으로 알려져 있다. 『광여도』 「양주목」과 『여지도』 「양주목」에는 아계산(峩溪山)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 시대에는 지금의 봉화산과 용마산을 모두 아울러서 아차산으로 불렀던 것으로 기록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Ta5ni/btsIPUWM2i0/3KCf2rcyO83gPu07oAbXq1/img.jpg)
하정로(夏亭路)는 동대문구 신설동 로터리에서 답십리 신답철교까지의 1.65km 구간의 도로이다. 1984년 기존의 신답로에서 조선시대 대표적인 청백리이자 조선의 개국공신인 하정 유관을 기리는 의미에서 그의 호를 따 하정로로 이름을 개칭하였다. 2010년 ‘1도로 1명칭’ 원칙에 따라 ‘하정로’라는 도로명이 폐지되고 천호대로로 이름이 변경되며 통합되었으나, 유서 깊은 도로명을 존속시키고자 하는 이천여명이 넘는 동대문구 주민들의 서명운동으로 2011년 다시 하정로라는 이름을 되찾았다. [유래비] 하정로(夏亭路) 표지석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유래비] 하정로(夏亭路) 표지석하정로(夏亭路)는 동대문구 신설동 로터리에서 답십리 신답철교까지의 1.65km 구간의 도로이다. 1984년 기...b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WnkDH/btsHWWhCsaO/UHLYAAUb0NXTGAq0PWAQQ1/img.jpg)
독산동에서 말뫼(斗山)로 넘어가는 고개를 말뫼고개라 하는데 이는 말머리 모양으로 생긴 고개라는 뜻에서 말머리(馬頭)산이 말산(馬山)이 되고 다시 말(馬)과 음이 같은 말(斗)로 바뀌어 斗山 또는 말뫼라는 이름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klAFS/btsHUbTwiS6/H7OKipsk8Dk6pKIx5R1C8k/img.png)
서울 중구의 신중앙시장 ‘싸전거리’는 정주영 선대회장의 첫 직장이었던 쌀가게 ‘복흥상회’와 이를 인수해 새롭게 세운 ‘경일상회’가 자리했던 곳이다.싸전거리는 1950~60년대 국내 최대 규모의 양곡(糧穀) 도·소매시장이었다. 당시 서울시민이 먹었던 쌀의 70% 이상을 유통했을 정도로 번성했다. 1958년에는 쌀가게만 44곳에 달했다. 지금은 몇 곳만 남아있다.싸전거리는 ‘황학가구거리’로 알려졌다. 사람들은 ‘황학동 만물시장’으로 부른다. 이곳 역시 과거엔 발 디딜 틈 없이 많은 사람이 오갔고, 그 수보다 훨씬 많은 중고품이 여기저기 쌓였다. 하지만 오늘날 황학동은 많이 달라졌다. 구경꾼과 소비자는 예전 같지 않다. 그래도 깨끗이 포장한 도로와 새로 지은 현대식 건물들로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5년 전부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XBzrz/btsHTf76Qzx/mnpSaFjA2BeioZPvA0TNt1/img.jpg)
홍예교(虹霓橋)는 무지개다리라고도 하는데, 좁은 구간에 교각을 세우지 않고 양측에서 미는 압축력으로 다리 중간의 하중을 버티는 공법이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중국, 인도, 그리스 등지에서 이 공법이 활용되었고, 우리나라에도 경복궁, 불국사 등에서 홍예교 양식을 볼수 있다.건국대 설립자인 상허(常虛) 유석창(1900~1972) 박사는 일감호의 설계와 디자인에도 신경을 썼다. 그는 학생들이 일감호를 통해 우리나라의 화합 정신을 깨닫기를 희망했다. 그래서 일감호를 한반도 모양으로 만들었다. 전라북도와 전라남도의 위치에 '홍예교'를 만들어 당시 갈등이 적지 않았던 두 지역의 화합을 상징했다. 또, 고구려 수도인 평양에 '와우도'를 만들어 진취적인 기상을 표현했다. 와우도(臥牛島)는 소가 누워있는 형상을 띄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