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고용평등상담실
- 1029
- 민우총회
- 차별금지
- standwithmyanmark
- 성폭력
- 노조법 2·3조
- 추모촛불
- 세월호
- 민우회
- 고용평등상담실폐지중단
- 2023 여성노동자대회
- 양성평등
- 3·8 세계여성의날
- 채용성차별
-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 여성가족부 폐지 저지
- 수요시위
- 여성가족부
- 38여성대회
- 8888
- 여성의날
- 임신중지
- 1029참사
- 강간죄 개정
- 38여성의날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272)
少欲知足

(2022-08-27) 펄 사이든스트리커 벅(Pearl Sydenstricker Buck, 賽珍珠 싸이전주1892년 6월 26일 ∼ 1973년 3월 6일)은 미국의 소설가이다.《대지의 집》 3부작을 썼다. 대한민국을 방문하였을 때 스스로 박진주(朴眞珠)라는 한국어 이름도 지었다. 펄 벅이 처음으로 한국과의 인연을 맺게 된 때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미국의 OSS에 중국 담당으로 들어온 때부터로 알려져 있다. 당시 한국 전문으로 오게 된 유한양행의 창업자이기도 한 유일한과 중국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한국에 대한 호감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한국과의 많은 인연을 토대로 한국에 대한 많은 이해를 가지고 있었는데, 여기에 관한 케네디 대통령과의 일화가 있다.

(2022-05-25) 국내거주자로는 처음으로 일본군 위안부의 실상을 실명으로 증언해 일본군의 만행을 고발했다. 독립운동을 하던 아버지를 여의고 1939년 17세 때 일본군에게 끌려가 위안부 생활을 하고, 5개월 뒤 한 조선인 상인의 도움으로 위안소를 탈출했다. 1990년 일본이 '일본군은 군대위안부 문제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하자 이에 격분해 폭로할 것을 결심했다. 1991년 광복 46주년을 하루 앞두고 국내 최초로 일본군의 만행을 고발했다. 이후 정신대 문제 항의집회에 빠짐없이 참가하는 한편 일본 정부의 사죄와 보상을 촉구했으며, 이를 국제사회 문제로 확대하는 데 여생을 바쳤다. 김학순은 '민족의 아픔을 개인적인 한을 넘어 역사적 교훈으로 승화시킨 위대한 여인'이다.

(2022-05-29)국립여성사전시관은 2002년 12월 9일 서울 대방동에서 개관하였다.12년간의 대방동 시대를 접고 2014년 9월 1일 경기도 고양에서 이전 개관하면서 반만년 한민족 여성들의 역사와 문화를 한자리에 모았다. 2014년 7월부터 시행된 양성평등기본법 제50조에 여성사박물관의 설립·운영에 관한 규정이 담기게 되면서 정부 차원에서 여성사박물관 건립이 추진될 수 있는 법적 토대가 마련되었다 少欲知足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전시관] 국립여성사전시관(國立女性史展示館)(2022-05-29) 국립여성사전시관은 2002년 12월 9일 서울 대방동에서 개관하였다. 12년간의 대방동 시대를 ...blog.naver.com

(2022-03-25)김금원(金錦園)은 1845년(헌종 11)에는 김덕희와 함께 서도와 금강산을 유람하다가 1847년(헌종 13)에 돌아와 서울 용산에 있는 김덕희의 별장인 삼호정(三湖亭)에 정착하였다. 김금원은 이곳에서 사대부들과 시를 지으며 어울리는 동시에 여성 4명과도 삼호정시사(三湖亭詩社)>를 만들어 교류하었다. 삼호정시사는 여성 문학의 새 지평을 마련한 조선 최초 여성 시인들의 시 모임이었다. 이들은 우아한 성품과 뛰어난 재주로 당시 명사들과 교유하며 시를 주고받았고 이들 여류들의 시는 1800년대 서울 장안에 인기 문학작품이었다. 연천 김이양의 소실인 성천 기생 운초, 화사 이판서의 소실인 문화 사람 경산, 송호 서기보의 소실인 원주 사람 죽서, 추천 홍태수의 소실인 자기 동생 경춘 등이 회원..

(2022-06-10)1984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언어학과에 입학한 박종철은 사회참여 지향적 성격의 서클인 ‘대학문화연구회’에 가입하고 학생운동에 참여한다. 대학교 2학년 때인 1985년 3월 언어학과 학생회 홍보부장으로 활동했다. 같은 해 5월 강제철거에 반대하는 사당동 거리시위에 참여해 구류 5일, 구로동맹파업을 지원하기 위한 가리봉동 거리시위로 구류 3일을 살았다.1985년 8월 박종철은 대림동 공단에 위장취업해 공장의 근로조건 등을 기록하는 활동을 진행했다. 또한, 1986년 4월에는 청계피복노조 합법성쟁취대회 시위에 참여했다가 구속됐다. 박종철은 그해 7월 징역 10개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고 출소한다.박종철 고문치사와 경찰의 은폐 조작 사건은 정권 규탄 시위를 촉발하며 6월항쟁에 직접적인..

(2022-01-17)삼일공원민족 대표 33인 중 충북 출신 여섯 분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동상이 세워진 충북 출신 민족 대표는 의암 손병희, 우당 권동진, 청암 권병덕, 동오 신홍식, 은재 신석구, 청오 정춘수 선생등이다. 그러나 정춘수의 동상은 친일행각 사실이 드러나 1990년 시민들에 의해 강제 철거되고 좌대만 남아 있다.중앙공원중앙공원은 청주시의 한가운데 있는 시민들의 휴식처로척화비.영규대사 전장 기념비, 조헌 전장 기적비(충북유형문화재 136), 한봉수의 송공비등 유적이 있다. 상당공원상당공원에는 한봉수 의병장상, 4.19 학생 혁명 기념탑 등이 있다.

춘천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이 2017년 12월 9일 춘천 의암공원에서 열렸다.일제 강점기꽃다운 나이에 모진 고통을 겪어야 했던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우리는기억합니다.그들의 고결한 자존을 기억하고지켜내고자춘천시민의 뼈아픈 마음을 담아이곳에 춘천 평화의 소녀상을 세웁니다.시인 최돈선 작2017년 12월 9일춘천 평화의 소녀상 건립 추진위원회

(2021-12-08) 임윤지당(1721~1793)은 여성도 교육과 수양으로 성현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 조선시대 최초이자 최고 여성 성리학자 이다. 그의 학문 업적은 '윤지당유고(允摯堂遺稿)'라는 문집으로 남아 있다. 그는 성리학의 음양이기론에 기초해 “남녀는 상호 보완 관계이며, 남녀 모두 공히 하늘로부터 동등한 성품을 받았으므로, 여성도 성인(聖人)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남자와 여자의 존재를 음양의 우주 질서와 같이 상호보완적인 존재로 파악, 똑같이 중요한 필수적 존재일 뿐 우열을 가진 존재라고 보지 않았다. 임윤지당은 “나는 비록 여자지만 부여받은 본성에는 남녀 간에 다름이 없다”며 ‘여성 철학’의 장을 형성했다. 그의 학문은 한국 여성 운동에 큰 영향을 끼친 여성학자로 평가받고..

이태원 참사 피해자 명단 공개에 대한 인권단체 입장 한 언론이 이태원참사 희생자들의 이름을 공개했습니다. 인권단체들은 이에 깊은 우려를 전하며 애도와 기억에 관한 우리의 고민을 나누고 싶습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 이름들을 보면서 누구도 떠올리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누군가는 그 이름을 보면서 지금 세상에 없는 이의 자리를 원치 않는 방식으로 마주해야 했을 것입니다. 해당 언론과 이를 유포하는 모든 분들에게 멈춰주시길 요청드립니다. 숫자만으로 애도가 완성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름만 아는 것으로도 마찬가지입니다. 숫자도 이름도 애도를 위한 필수조건이 아닙니다. 이태원참사를 마주하며 함께 애도하고 서로 위로하고 싶은 많은 분들의 마음이 소중한때입니다. 책임 부인과 회피로 일관하는 정부의 모습, 서둘..

(2022-04-16)세월호 참사와 관련된 모든 기록을 놓치지 않고 기억하고 기록하며 행동하는 비영리 민간기록관리기관입니다.2015년 4월 2일, 4.16세월호참사기록전시회 을 시작으로 문을 연 4.16기억전시관은 세월호 참사에서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낸 단원고등학교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전시를 통하여 시민들과 세월호 참사를 공유함으로서 기억을 확산시키고, 희망의 담론을 만들어내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더 많은 시민들의 참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少欲知足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전시관] 4.16기억전시관(2022-04-16) 세월호 참사와 관련된 모든 기록을 놓치지 않고 기억하고 기록하며 행동하는 비영리 민간기록...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