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2023 여성노동자대회
- 수요시위
- 1029
- 성폭력
- 노조법 2·3조
- 세월호
- 추모촛불
- 임신중지
- 3·8 세계여성의날
- 1029참사
- 38여성의날
- 8888
- 민우회
- 고용평등상담실
- 민우총회
- 여성의날
- 여성가족부 폐지 저지
- 차별금지
- 고용평등상담실폐지중단
- 여성가족부
- 38여성대회
- 양성평등
- 강간죄 개정
- 채용성차별
-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 standwithmyanmark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337)
少欲知足

(2022-09-24)왕십리역 5번 출입구에 2017년 6월 10일에 세워진 '성동 평화의 소녀상 기림비'를 만날 수있다..평화의 소녀상은 평화비(平和碑)라고 불리기도 하며, 상의 모양은 의자에 앉아있는 모양이 대표적이다. ‘역사인식의 문’ 앞에 소녀상이 피와 눈물로 쓴 고통의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기를 염원하고 있다. ‘희망의 문’은 한 소녀가 평화의 상징 비둘기를 손 위에 앉힌 채 날아오르기를 기다리고 있다. ‘공감의 문’에는고 김학순 할머니의 모습을 한 소녀상이 서 있다.

안산지역 단원구 평화의 소녀상은 2020년 안산시청 내에 건립됐다.매년 8월 14일 전쟁으로 참혹히 희생된 피해자들의 넋을 달래고 일본의 진심어린 사과를 촉구하기 위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에 맞춰 문화제를 진행하고 있다.

(2022-04-03) 제주 4.3사건은 1947년 3월 1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남로당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다수의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도령모루 (4·3 당시 최소 60여명이 학살된 곳) 신사터 (중문리 집단 학살 터 중 가장 참혹한 학살극이 벌여진 곳, 현 중문성당) 천제연 (제주 4,3 희생자 위령비)

안산지역 상록수역 평화의 소녀상은 시민들의 모금으로 지난 2016년 상록수역 광장에 건립됐다.매년 8월 14일 전쟁으로 참혹히 희생된 피해자들의 넋을 달래고 일본의 진심어린 사과를 촉구하기 위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에 맞춰 문화제를 진행하고 있다.

수원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이며 근대교육자인 임면수는 이회영이나 이상룡과 같은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인물이다. 전 재산을 털어 수원 삼일학교를 설립했고 만주로 망명해 신흥무관학교 재원 조달에 몸바치는 등 만주독립운동을 뒤에서 도운 숨은 조력자이기도 하다. 신흥무관학교 분교 교장으로 독립군을 양성하고 결사대원으로 활약하기도 했다. 그가 고문으로 반신불수가 돼 고향에 돌아왔을 때는 기거할 방 한 칸도 없었다. 임면수 선생은 1874년 6월 13일 경기도 수원군 수원면 매향리(현 화성시)에서 아버지 임진엽과 어머니 송씨 사이에서 2남으로 출생했다. 삼일학교 설립에 기부한 재산을 보면 그의 가계는 중농 이상의 부호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호는 필동(必東) 또는 필동(弼東)을 사용했다. 임면수는 19세 때 나중..

(2022-10-26) 안중근은 일제강점기 이토저격사건과 관련된 독립운동가이다. 1879년(고종 16)에 태어나 1910년에 사망했다. 러일전쟁이 일어나자 상해로 망명했다가 국내실력양성이 중요하다는 선교사의 충고로 귀국했다. 학교를 설립하고 연해주 의병운동을 일으켰으며 각종 모임을 만들어 애국사상 고취와 군사훈련을 담당했다. 1909년 3월에 동지 12명이 모여 이토와 이완용 제거를 단지의 피로써 맹세하고 9월 하얼빈역에서 이토를 사살, 현장에서 체포됐다. 개인이 아닌 대한의용군사령관의 자격으로 총살한 것이라 주장하다 1910년 뤼순 감옥에서 사형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