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민우총회
- standwithmyanmark
- 수요시위
- 양성평등
- 고용평등상담실폐지중단
- 3·8 세계여성의날
- 38여성대회
- 2023 여성노동자대회
- 노조법 2·3조
- 세월호
-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 38여성의날
- 강간죄 개정
- 채용성차별
- 차별금지
- 8888
- 1029참사
- 민우회
- 고용평등상담실
- 여성의날
- 여성가족부 폐지 저지
- 1029
- 성폭력
- 임신중지
- 여성가족부
- 추모촛불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272)
少欲知足

(2015-04-18) '세월호참사1년 범국민집중행동'의 하나로 2016년 4월11일~18일까지 광화문광장에 '기억과 행동의거리'가 조성되었다.

(2014-08-13) 2014년 8월12일 ~ 8월 24일까지 서울시청 시민청 활짝 라운지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인궝 회복을 위한 전시회 '아픔으로 날다'가 열린다.

(2014-05-01) 2014년 4월 27일(일) 오후 3시부터 서울광장 서울도서관 앞에서 세월호 희생자 애도를 위한 합동분향소를 운영합니다. 운영시간은 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까지이며, 그 시간 이후에도 자율적인 분향은 할 수 있습니다. 분향소 인근에서 실종자의 생환을 기원하고 희생자를 추모할 수 있는 공간인 ‘소망과 추모의 벽’도 운영합니다. “세월호 실종자분들의 무사귀환과 희생자 여러분의 명복을 빕니다.

(2014-03-08) 2014년 3월 8일 청계광장에서 3.8세계여성의날 기념 한국여성대회가 '점프, 뛰어올라 희망을 찾자'란 주제로 다양하고 성대하게 열렸다

(2014-01-01) 2014년 1월1일(수) 12시 일본대사관 앞 평화로에서 정대협 1107차 수요정기시위가 있었다. 1월8일은 수요시위를 시작한지 22년이 되는 날이다.

(2013-11-13) 2013년 11월 13일 낮12시 일본대사관앞에서 정대협에서 주관하는 1100회 수요시위가 있었다. 특히, 11월 16일 23주년을 맞이하여 11월 17일 후원의 밤도 개최된다.

(2013-09-04)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하 정대협)가 그 부설기관으로 건립하였다.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관점으로 전쟁과 여성인권의 역사를 전시하고 교육하며, 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하는 박물관이다.2013년 9월 4일 수요일 오후 다시 찾은 여성과 전쟁 박물관 이전과 다른 새로운 모습이었다.

평화와 인권의 상징인 ‘천안 평화의 소녀상’ 이 2015년 12월10일 천안시 신부공원에 건립됐다.천안 평화의 소녀상 건립을 위한 시민모금에는 147개 기관 및 단체, 1200명의 개인이 참여하여 7700여만원이 모금됐다.신부공원에는 소녀상과 함께 6월 민주항쟁 기념비와 친일문제연구가 고 임종국(1929∼1989) 선생 기념 조형물이 있다. [평화비] 천안 평화의 소녀상 & 6월 민주항..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평화비] 천안 평화의 소녀상 & 6월 민주항쟁 기념비평화와 인권의 상징인 ‘천안 평화의 소녀상’ 이 2015년 12월10일 천안시 신부공원에 건립됐다. 천안 평화...blog.naver.com

민주주의를 후퇴시키는 윤석열 정부의 언론탄압을 규탄한다 : 대통령실의 MBC 기자 전용기 탑승 불허에 부쳐 11월 9일 대통령실은 윤석열 대통령 동남아 순방 MBC 기자에 대통령 전용기 탑승 불가를 통보했다. 대통령실은 “최근 MBC의 외교 관련 왜곡, 편파 보도가 반복돼온 점을 고려해 취재 편의를 제공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탑승 불가 통보는 단순 취재 편의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없다. 이는 명백히 언론사의 취재를 통제하는 반민주적인 행태이다. 입맛에 맞지 않는 언론에 불이익을 주며 국민의 알권리를 침해하는 윤석열 대통령은 언론 탄압을 당장 중단하라. 우리는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결정을 규탄하며 앞으로 언론의 자유를 위협하는 행태들에 맞설 것이다.

[토크쇼] 여성노동자의 일자리 젠더폭력 다시, 깊게 보기 여성노동자가 일터에서 겪는 폭력은 성희롱만이 아닙니다. 성희롱도 단지 여성이기 때문에 겪는 일이 아니라 구조화된 젠더위계에서 비롯됩니다. 지난 신당역 스토킹 살해사건은 다시 한번 여성노동자의 일터에서의 안전에 대해 우리에게 많은 고민을 던져주고 있습니다. 이번 토크쇼는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여성노동자들이 각자의 일터에서 겪는 차별과 폭력에 대한 말하기를 통해 다양한 젠더폭력의 양상을 드러내내는 가운데 각자의 위치에서 자신의 일터를 젠더적 관점에서 점검하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더불어 우리의 일터를 더욱 성평등하고 안전하게 바꿔낼 수 있는 변화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며, 함께 고민하고 생각을 나눠 주실 분들의 사전 신청을 받습니다. * 일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