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고용평등상담실
- 1029참사
- 여성의날
- 차별금지
- standwithmyanmark
- 강간죄 개정
- 2023 여성노동자대회
- 노조법 2·3조
- 여성가족부
- 민우회
- 채용성차별
-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 1029
- 세월호
- 3·8 세계여성의날
- 38여성의날
- 임신중지
- 38여성대회
- 수요시위
- 추모촛불
- 고용평등상담실폐지중단
- 여성가족부 폐지 저지
- 민우총회
- 성폭력
- 양성평등
- 8888
- Today
- Total
목록펑화기림 (42)
少欲知足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lfCMI/btrR2HOqmR2/KXYQihtTO3ZMPDjz24QNMk/img.jpg)
용산평화의소녀상건립추진위원회'는 2018년 8월 26일 오후 4시 용산구 이태원입구광장에서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을 열었다. 용산구민들이 자발적으로 꾸린 용산평화의소녀상건립추진위원회는 1천여 명의 개인과 60여 개의 단체로부터 지원을 받아 발족 1년 만에 서울시에서 12번째로 평화의 소녀상을 세웠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9MjgV/btrRxabOO6h/XpwP4PCKQYkraGegHCkFgk/img.jpg)
(2022-08-31) 2016년 2월 3일 부천시 원미구 중동 안중근 공원에 시민 성금으로 조성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비(소녀상)이 세워졌다. 소녀상은 2014년 프랑스 앙굴렘에서 일본군위안부특별전‘지지 않는 꽃’의 참여 작품인 최인선 만화작가의‘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를 모티브로 제작됐다.160㎝의 기림비 뒷 모습은 저고리와 치마를 입은 전형적인 한복 차림의 소녀가 곱게 빗어 땋은 머리카락을 길게 늘어뜨린 형태이다. 앞은 소녀상을 보며 자신을 되돌아보기 위해 거울로 만들어졌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vWH2t/btrRrPA4K75/sxIlmDKBOaKCLnDM8ZE5KK/img.jpg)
(2022-07-26)대학생이 세우는 평화비 대학생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의 새 세대로서,이 문제가 해결되는 그 날까지 역사를 기억하고함께 행동하기 위해 이 평화비를 세우다2014년 12월 24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ZALC/btrRtHhDaJh/RiJFEXVH8iHpSUloSdhQTk/img.jpg)
(2022-10-12)'익산 평화의 소녀상'은 익산여성의전화 제안으로 건립사업이 추진되었다. 시민사회단체의 활동과 시민모금활동을 꾸준하게 전개하여 2017년 8·15행사때 익산역 광장에 '익산 평화의 소녀상'이 건립되었다 .익산역은 일제강점기인 1912년에 현재의 위치에 세워져 지역의 젊은이들이 강제 징집되어 전쟁터와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간 상징적인 공간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pYehE/btrRvcgSCaT/OZx57o3K1zM8lKosJvMzQK/img.jpg)
(2022-06-21)매년 8월 14일은 위안부 피해자인 고(故) 김학순 할머니가 1991년 위안부 피해 사실을 처음으로 공개 증언한 역사적인 날이다.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국내외에 알리고 피해자를 기리기 위해 2017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해 매년 이를 기념하고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MACg6/btrRtHWbNiU/wtx4AvfBQKWDVpVcv3aIV0/img.png)
(2019-07-11)홍성군 평화의 소녀상이 군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세워졌다. 2017년 8월 15일 제72주년 광복절을 맞아 홍주성 옆 공영주차장에 소녀상 제막식이 열렸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GbbRc/btrRsDUwlmD/0SKBLyYk1B0CIDR5L6LoV0/img.jpg)
(2022-09-28)수원 평화의 소녀상은 수원시민과 단체의성금으로 2014년 5월 3일 수원시청역(올림픽공원)에 설립되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Nj1U1/btrRthQQvXf/EkdpF7az5ideH4CQOOdLkk/img.jpg)
(2022-09-24)왕십리역 5번 출입구에 2017년 6월 10일에 세워진 '성동 평화의 소녀상 기림비'를 만날 수있다..평화의 소녀상은 평화비(平和碑)라고 불리기도 하며, 상의 모양은 의자에 앉아있는 모양이 대표적이다. ‘역사인식의 문’ 앞에 소녀상이 피와 눈물로 쓴 고통의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기를 염원하고 있다. ‘희망의 문’은 한 소녀가 평화의 상징 비둘기를 손 위에 앉힌 채 날아오르기를 기다리고 있다. ‘공감의 문’에는고 김학순 할머니의 모습을 한 소녀상이 서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R1krT/btrRtcWoWJz/Kbek4IA6MRzFaDKAw8FwC1/img.jpg)
안산지역 단원구 평화의 소녀상은 2020년 안산시청 내에 건립됐다.매년 8월 14일 전쟁으로 참혹히 희생된 피해자들의 넋을 달래고 일본의 진심어린 사과를 촉구하기 위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에 맞춰 문화제를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