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추모촛불
- 차별금지
- 강간죄 개정
- 여성가족부 폐지 저지
- 민우총회
- 1029참사
- 민우회
- 고용평등상담실폐지중단
- 임신중지
- standwithmyanmark
- 성폭력
- 고용평등상담실
- 38여성의날
- 38여성대회
- 채용성차별
- 8888
- 2023 여성노동자대회
- 여성가족부
- 3·8 세계여성의날
- 세월호
- 노조법 2·3조
- 수요시위
- 양성평등
-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 1029
- 여성의날
- Today
- Total
少欲知足
[카드뉴스] 이 재난의 이름은 불평등입니다 본문
![](https://blog.kakaocdn.net/dn/JFUlm/btspsUoJivn/6EvKTIDUHIXsEmrIu3HNq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mmzQo/btspFMiMfh6/Sa0kIl7HiAvDzUWIGL3di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fUJ3/btspFMJRpFE/P2HKUmEMFufZaizyfv73j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p72Al/btspMjUEwKn/LaKql3QEklcg32Ikl5TYX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Xvia/btspOAVSIgp/0MbVZlAHZCbFFlHICuskE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Q4xGg/btspsUPOgXS/0cFqFiCvjIobjDyPvGsi1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sUnYP/btspOCe4LZr/fzsApNDA45VlTdCv0bXdL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VJBus/btspFiWtG8E/aMJgDoYtCaN8dlx7KfqnmK/img.jpg)
#1
이 재난의 이름은 불평등입니다
2022년 8월 8일과 9일 내린 집중호우로 서울 관악구에 살던 일가족과 동작구에 살던 이웃이 반지하 주택에서 목숨을 잃었습니다.
기후위기는 폭염, 폭우, 가뭄과 같이 예측할 수 없는 기상이변으로 모습을 드러내고, 집은 기후위기 시대 재난의 장소가 되었습니다.
#2
그리고 1년,
근본대책을 마련해야 했던 정부와 국회는 도리어 2023년 공공임대주택 관련 예산을 5조원 삭감했습니다. 지난해 침수 피해를 입었던 관안구의 노부부는 또 다시 같은 집에서 여름을 맞았습니다.
#3
지난 1년, 서울시의 엉뚱한 행보
참사 직후 반지하주택 20만 가구를 전수조사 하겠다던 서울시는 두 달 후 슬그머니 약 1,100호 표본조사만 진행하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했습니다.
이에 대한 비판이 일자 올해 4월이 되어서야 다시 전수조사에 나섰지만 이미 늦장 대응이었습니다.
#4
침수방지 시설 설치 22%에 불과
최소한의 조치인 차수판 등 침수방지시설조차 대상가구의 단 22%만이 설치가 완료됐습니다.
차수판 설치를 원하지 않는 건물주를 설득할 수 없다는 해명은 비상식적입니다.
#5
서울시 정책으로 이주한 반지하 가구 단 0.95%
서울시는 공공임대주택 이주나 무이자대출, 월 20만원의 바우처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마련했다고 홍보했지만 1년이 지난 지금 실제 이주 가구는 2,248가구입니다.
서울시가 침수 위험 가구로 설정한 28,439가구의 단 8%, 전체 반지하 가구의 0.95%에 불과합니다.
#6
반환경, 토건사업으로 역주행하는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공급에 진심’이라던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 재개발지역 공공임대주택 공급비율을 15%에서 10%로 축소시켰습니다.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라는 토건 사업에 몰두하며 환경 파괴 행보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7
부동산 공화국에서 안전은 뒷전이 되어야 하나요?
#8
우리는 요구합니다
하나, 반지하 침수방지 시설은 생명과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시설인 만큼 행정 조치를 통해서라도 의무 설치하도록 강제해야 합니다.
둘, 공공임대주택은 주거불평등 해소를 위한 열쇠입니다. 위험한 집을 선택하지 않을 수 있도록 공공임대주택을 확대해야 합니다.
셋, 기후위기를 부추기는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를 폐기하고,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서울을 위한 정의로운 전환에 나서야 합니다.
'추천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론회] 노인장기요양보험법 개정을 위한 국회토론회 (0) | 2023.09.04 |
---|---|
[토론회] 제22대 국회에 요구한다! 지속가능한 성평등사회를 위한 총선젠더정책 발표 토론회(9/7) (0) | 2023.08.31 |
[기념물] 건국대, 4·19 민주혁명 기념탑 (0) | 2023.07.08 |
[기자회견] 10.29 이태원 참사 특별법 신속처리안건 지정촉구72시간 비상행동 선포 (0) | 2023.06.28 |
[참여] 모임넷 - 한-일 활동가 웨비나 : 유산유도제, 재생산 건강과 권리 이슈들 (0) | 2023.06.21 |